• 미래도시 로봇연구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스마트시티에 필요한 로봇 기술: 저희 연구실은 스마트시티를 위한 로봇 기술 연구 및 개발을 지향합니다.

    사진 더 보기
  • 미래선도 로봇 기술

    우리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 새로운 로봇 기술

    더 보기
  • 동시적 위치추정 및 지도작성 (SLAM)

    원활한 로봇 자율주행을 위한 정확한 위치 추정 및 지도 작성

    더 보기
  • 로봇 자율 주행

    저희 연구실은 다양한 로봇 플랫폼의 자율 주행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read more

동시적 위치추정 및 지도작성 (SLAM)

원활한 로봇 자율주행을 위한 정확한 위치추정 및 지도작성

read more

머신러닝 & AI

심층 신경망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

read more

미래 선도 로봇 기술

우리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 새로운 로봇 기술 연구

read more

최근 공지

더 보기

Prof. Myung Receives Academic Awards from Korea Robotics Society and ICROS

명현 교수가 국내 로봇 관련 양대 학회인 한국로봇학회와 제어로봇시스템학회에서 각각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명현 교수는 지난 12월 1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 SC컨벤션에서 열린 한국로봇학회 정기총회에서 학술상을 수상했다. 한국로봇학회 학술상은 매년 연말에 시상하는 한국로봇학회의 학회상으로서, 독창적인 연구성과와 저술활동을 통해 국내외 로봇 기술 및 관련 학문의 발전에 탁월한 업적을 이룬 연구자에게 포상하는 한국로봇학회 최고 권위의 상이다. 명현 교수 연구팀은 로봇 자율 주행 분야에서 100여편의 SCI급 논문과 300여편의 국제학술대회 논문을 발표하는 등 관련 분야에서의 학문적인 성과와 더불어, 로봇 관련 최대 국제 학술대회인 2023 IEEE ICRA (Int’l Conf. Robotics and Automation, 영국 런던 개최) 자율보행 로봇 경진대회 우승 및 HILTI SLAM Challenge 2관왕 등의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을 하게 되었다. 또한, 명현 교수는 지난 10월 19일 여수 베네치아 호텔에서 개최된 제어로봇시스템학회 (ICROS) 정기총회에서 IEEE 학술활동상을 수상하였다. IEEE 학술활동상은 ICROS에서 매년 포상하는 6개의 학술상 중의 하나로서, IEEE 관련 학술 활동이 탁월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학술상이다. 명현 교수는 금년 IEEE ICRA 자율보행 로봇 경진대회 우승 및 SLAM 대회 2관왕의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을 하게 되었다. Professor Hyun Myung from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has received academic awards from two major domestic robotics societies, the Korea Robotics Society and the ICROS (Institute for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Professor Hyun Myung was awarded the academic award at the regular meeting of the Korea Robotics Society, held at the SC Convention in Seoul on December 1st. The Korea Robotics Society's academic award is the most prestigious award given by the society at the end of each year. It is awarded to a researcher who has made outstanding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obotics technology and related fields through innovative research achievements and publication activities. Professor Hyun Myung's research team has published over 100 SCI papers and presented more than 300 international conference papers in the field of autonomous robot navigation. Additionally, they received recognition for their excellent achievements, including winning the Autonomous Quadruped Robot Competition at the 2023 IEEE ICR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held in London, UK, and being double-crowned champion of the HILTI SLAM Challenge. Furthermore, Professor Hyun Myung was honored with the IEEE Academic Activity Award at the regular meeting of the ICROS (Institute for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held at the Venezia Hotel in Yeosu on October 19th. The IEEE Academic Activity Award is one of six academic awards presented annually by ICROS and is awarded to researchers who have demonstrated outstanding IEEE-related academic activities. Professor Hyun Myung received this award in recognition of his achievements this year, including winning the IEEE ICRA Autonomous Quadruped Robot Competition and achieving double championships in the HILTI SLAM Challenge. < KROS Academic Award > <IEEE Academic Activity Award from ICROS>
Dec,06,2023

최근 게재 논문

더 보기

언론 보도

더 보기

인간의 뇌를 모방한 3차원 집적 뉴로모픽 반도체 개발​

[Source] KAIST website < (왼쪽부터)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양규 교수, 명현 교수,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 >   < (왼쪽부터) 전기및전자공학부 한준규 박사, 이정우 박사과정, 김예은 박사과정, 신소재공학과 김영빈 박사과정 >   우리 대학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양규 교수, 명현 교수, 그리고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 공동연구팀이 ‘인간의 뇌를 모방한 3차원 집적 뉴로모픽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에 성공했다. ‘인간의 뇌를 모방해 동일평면 상에 수평 집적한 뉴로모픽 반도체’를 개발(2021년 Science Advances 게재)하는 데에 성공했던 연구팀은, 뉴런 소자와 시냅스 소자를 상하부에 3차원 방식으로 수직 집적해, 보다 높은 집적도와 전력 효율을 가지는 뉴로모픽 반도체를 구현할 수 있음을 처음으로 보였다. 전기및전자공학부 졸업생 한준규 박사, 전기및전자공학부 이정우 박사과정과 김예은 박사과정, 그리고 신소재공학과 김영빈 박사과정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저명 국제 학술지 ‘Advanced Science’ 2023년 9월 온라인판에 출판됐다. (논문명 : 3D Neuromorphic Hardware with Single Thin-Film Transistor Synapses Over Single Thin-Body Transistor Neurons by Monolithic Vertical Integration). ‘Advanced Science’는 재료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엔지니어링 분야의 기초 및 응용 연구를 다루는 학제 간 오픈 액세스 저널이다. (impact factor : 17.521) < 개발된 3차원 집적 뉴로모픽 반도체 >   뉴로모픽(neuromorphic) 하드웨어는, 인간의 뇌가 매우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소비하는 에너지는 20와트(W) 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에 착안해, 인간의 뇌를 모방해 인공지능 기능을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방식이다. 뉴로모픽 하드웨어는 기존의 폰 노이만(von Neumann) 방식과 다르게 인공지능 기능을 초저전력으로 수행할 수 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뉴로모픽 하드웨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뇌와 동일하게 일정 신호가 통합되었을 때 스파이크를 발생하는 뉴런과 두 뉴런 사이의 연결성을 기억하는 시냅스가 필요하다. < 3차원 집적 뉴로모픽 반도체를 이용한 수화 패턴 인식 >   연구팀은 단일 박막 트랜지스터(thin-film transistor) 기반 시냅스 소자를 단일 트랜지스터 기반 뉴런 소자 위에 3차원 방식으로 수직 집적해, 높은 집적도와 전력 효율을 가지는 3차원 집적 뉴로모픽 반도체를 개발했다. 아래층 뉴런 소자의 손상 없이 위층 시냅스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엑시머 레이저 어닐링(excimer laser annealing) 기법을 활용했다. 또한, 아래층 뉴런 소자의 손상 없이 위층 시냅스 소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자 내부의 줄열(Joule heat)을 이용한 자체 어닐링 기법도 제안했다. 이러한 뛰어난 내구성을 바탕으로, 이벤트 카메라(event camera)를 기반으로 제작된 손동작 기반의 수화 (手話) 패턴을 높은 성공률로 인식할 수 있음을 보였다.  
Nov,16,2023

연구실 소개 영상

상세 영상

짧은 영상